성호풍수역학연구소
?????????
성호풍수역학연구소


50.오행으로 입시, 시험, 학과, 전공, 직업의 선택요령 4-1
sungho1638  (Homepage) 2018-01-18 00:22:37, 조회 : 5,483, 추천 : 1249

Untitled Document

★ 五行 ( 오행 ) 으로 入試 ( 입시 )· 試驗 ( 시험 )·學科 ( 학과 )·

專攻 ( 전공 )· 職業 ( 직업 ) 의 選擇要領 ( 선택요령 ) [4] ★




第1篇. 干支論(간지론).

◈ 性格論(성격론).

 ◎命理(명리)로 보아 心理構造(심리구조)나 心理分析(심리분석)은 태어난 날의 [日干(일간)]을

  中心(중심)으로 [日支(일지)와 日支(일지)의 地藏干(지장간)]을 包含(포함)하여

  [月干(월간)·時干(시간)·月支(월지)] 等을 살핀다.

 ▶日干(일간)의 特性(특성)과 日干(일간)의 周邊(주변)에서 가장 影響(영향)을 많이 끼치는 五行(오행)의

   글자를 본다.

 ▶順序(순서)는 于先(우선) 陰陽(음양)이 다른 것을 보고 다음은 같은 것을 본다.

 ▶陰陽(음양)이 같다면 食傷(식상)[=食神(식신)과 傷官(상관)]·印星(인성)[=편인과 正印(정인)]

   ·財星(재성) [=偏財(편재)나 正財(정재)]·官星(관성)[=偏官(편관)과 正官(정관)]

   ·比劫(비겁)[=比肩(비견)과 劫財(겁재)]의 順序(순서)로 본다.

 ▶日支(일지)는 偏(편)일 때는 正(정)의 成分(성분)으로 본다.

 ▶代入(대입)은 本來(본래)의 成分(성분)대로 한다.

 ▶日干(일간)과 合(합)이 되는 天干(천간)[=日支(일지)도 包含(포함)]이 있으면 最于先(최우선)으로

   性格(성격)에 適用(적용)한다.


◈水火(수화)의 相反作用(상반작용).

 ▶地支(지지)에는 體(체)와 用(용)이 있는데 水火(수화)는 體(체)와 用(용)이 바뀌어 行動(행동)한다.

   卽(즉) 水火(수화)는 基本(기본)은 陰(음)이되 作用(작용)은 陽(양)으로 하고,

   또 基本(기본)은 陽(양)이되 陰(음)으로 作用(작용)하기 때문이다.

 ◆[子水(자수)]→陰水(음수) ·陽(양)의 作用(작용) ·外陽內陰(외양내음).

 ◆[亥水(해수)]→陽水(양수) ·陰(음)의 作用(작용) ·外陰內陽(외음내양).

 ◆[巳火(사화)]→陽火(양화) ·陰(음)의 作用(작용) ·外陰內陽(외음내양).

 ◆[午火(오화)]→陰火(음화) ·陽(양)의 作用(작용) ·外陽內陰(외양내음).



1. 甲木(갑목)=大林木(대림목).

 (1)共通(공통).

  ▶田破不可耕(전파불가경)이다. 始作(시작)의 뜻이다. 恒常(항상) 一等(일등)을 願(원)하고,

    二等(이등)은 滅亡(멸망)으로 간다고 生覺(생각) 한다. 恒常(항상) 强迫觀念(강박관념)에

    사로 잡혀 있다. 一流(일류)를 爲(위)해서는 財産(재산), 時間(시간), 努力(노력),

    人生(인생)을 아끼지 않는다.

  ▶甲木(갑목)은 己土(기토)를 좋아하고 戊土(무토)를 싫어 한다. 己土(기토)는 濕土(습토)이고

    戊土(무토)는 山(산)의 메마른 흙이다. 環境(환경)을 重視(중시)한다.

    木(목)은 成長(성장)하니 活氣(활기)와 生氣(생기)가 있는 生命體(생명체)이다.

  ▶熱心(열심)히 努力(노력)하고 앞만 보고 前進(전진)하나 한번 挫折(좌절)하면

    큰 나무가 한번 꺾이는 것과 같아 쉽게 일어서지 못한다. 徐行(서행)하면서

    事態(사태)를 살피는 差分(차분)함이 없어 恒常(항상) 서두르며 일을 벌리기만 하여

    收拾能力(수습능력)이 不足(부족)하다. 事故率(사고율)이 높다. 자라다가 더 자라지 못하면 죽는다.

  ▶[物象(물상)]→죽어도 甲木(갑목)이니 自尊心(자존심)이 强(강)하다.

    神木(신목), 保護樹(보호수), 堂山木(당산목)이다. 甲木(갑목)은 흙이 없으면 자라지 못하니

    흙을 重(중)히 여긴다. 흙[=木剋土(목극토)]은 財物(재물)에 該當(해당)한다.

    甲木(갑목)은 눈에 보이지 않지만 己土(기토)를 暗藏(암장)하고 있다.


2. 乙木(을목)=花草木(화초목).

 (1)共通(공통).

  ▶蛇之形(등사지형)이다. 求財稱鉤打釘(구재칭구타정)한다. 죽을 때까지 자라지 않는 나무이다.

    利害打算(이해타산)이 빠르다. 計算(계산)해 보아서 損害(손해)날 것 같으면 拒絶(거절)한다.

    너무 物質重視(물질중시)하니 恒常(항상)사는 것이 돈이 全部(전부)라고 生覺(생각)한다.

    자린고비나 守錢奴(수전노)이다. 돈이 있어야 待接(대접)을 받는 다고 生覺(생각)한다.

    돈을 誇示(과시)한다.

  ▶環境(환경)의 適應力(적응력)이 좋다. 잔디와 같이 마지막까지 살아 남는다.

    利用(이용)할 수 있는 것은 모두 利用(이용)한다. 살기 爲(위)해서 拷問(고문)을 견디면서

    목숨과 흥정하지 않으니 spy(스파이)로는 不適合(부적합)하다. 威脅(위협)을

    두려워 하지 않는 spy(스파이)는 辛金(신금)이니 乙木(을목)은 怯(겁)이 많아

    辛金(신금)을 만나면 몸을 도사린다.

  ▶恒常(항상) 財物(재물)을 周邊(주변)에 保管(보관)하나 威脅(위협)에는 弱(약)하니

    强盜(강도)와 盜賊(도적)에 脆弱(취약)하다. 恐怖(공포), 威脅(위협), 恐喝(공갈)에 弱(약)하다.

    生活力(생활력)과 忍耐心(인내심)이 있다. 혼자 힘으로 不足(부족)하다고 느끼면 언제라도

    어제의 敵(적)이라도 오늘의 同志(동지)가 될 수 있다.

  ▶逆境(역경)에서도 마지막까지 살아 남고, 融通性(융통성)이 있어 食口(식구)들을 굶기지 않는다는

    信念(신념)을 가진다. 乙木(을목)은 보이지 않는 庚金(경금)을 暗藏(암장)하고 있다.

  ▶[物象(물상)]→草木(초목). 花草(화초). 넝쿨나무. 새싹. 잔디. 나물種類(종류).

    加工(가공)된 綿織物(면직물). 紙物類(지물류). 衣類(의류). 鳥類(조류). 魚類(어류).穀物類(곡물류).

    韓藥材(한약재). 肝膽(간담). 눈. 腦(뇌). 後頭(후두)[=뒷골]. 목뒤. 허리. 心臟(심장). 손. 발등 等.


3. 丙火(병화)=太陽火(태양화).

 (1)共通(공통).

  ▶猛烈(맹렬)하다. 水火不辭(수화불사)한다. 두려움 없는 猛烈(맹렬)한 猪突的(저돌적)인

    攻擊性(공격성)이다. 一寸(일촌)[=한치]의 讓步(양보)도 없음. demo(데모)에는 先鋒(선봉)에 선다.

    언제나 革新(혁신), 革命(혁명), 改革(개혁) 等을 追求(추구)한다. 남을 따르는 模倣(모방)은 없고

    오직 個性(개성)으로 죽고 사는 人生(인생)이고, 反對(반대)하면서 손가락을 깨물고, 머리에 끈을 메고,

    북치고, 뒤돌아 보지 않고 앞으로만 나아간다.

  ▶失手(실수)가 많다. 天方地軸(천방지축)으로 行動(행동)을 한다. 後悔(후회)를 하면서도

    일을 저지른다. 長點(장점)은 勇氣(용기)가 있다. 丙火(병화)가 없는 사람은 말이 分明(분명)치 못해

    遝遝(답답)하다. 丙火(병화)는 말의 內容(내용)이 明確(명확)하고,

    숨기지 않고, 있는 대로 말하고, 틀려도 괜찮다.

  ▶健忘症(건망증)이 甚(심)하다. 눈에 확 뜨인다. 불을 보듯 透明(투명)하니

    恒常(항상) 損害(손해)를 본다. 불같은 性格(성격)이다. 性質(성질)이 나면 무서우니

    불이 꺼지고 나서 逆襲(역습)하면 成功(성공)한다. 여름의 丙火(병화)와 겨울 丙火(병화)의

    힘이 다르다. 겨울 丙火中(병화중)에도 낮 丙火(병화)와 밤 丙火(병화)의 差異(차이)가 크다.

    丙(병)은 보이지 않는 辛(신)을 暗藏(암장)하고 있다.

  ▶[物象(물상)]→太陽(태양). 하늘. 불. 熱氣(열기). 火山(화산). 엔진. 自動車(자동차). 電子(전자).

    電氣(전기). 通信(통신). 光線(광선). 鐵金屬(철금속). 物質(물질)을 녹이는 불. gas(가스)類(류).

    火藥(화약). 核(핵)에너지. 火力發電(화력발전). 心臟(심장). 小腸(소장). 精神(정신). 神經(신경).

    高血壓(고혈압). 後頭(후두)[=뒷골]. 눈. 어깨. 기침 等.


4. 丁火(정화)=燈燭火(등촉화).

 (1)共通(공통).

  ▶單身(단신)으로 하는 獨力事(독력사)는 難成(난성)한다. 見官有杖貴(견관유장귀)한다.

    丁火(정화)는 아름답다. 奉仕精神(봉사정신)이 있고 獻身的(헌신적)이다. 禍(화)를 잘내지 않는다.

    어둠을 밝히는 불이다. 남의 心情(심정)을 잘 헤아려 준다. 忠臣(충신)이며 反逆(반역)을 모른다.

    丙火(병화)는 알아보기 쉬운데 丁火(정화)는 알아보기 힘들다. 丁火(정화)는 건드리는 것을 싫어하고

    丙火(병화)는 무척 좋아한다. 神氣(신기)가 있음.

  ▶丁(정)은 보이지 않는 壬水(임수)를 暗藏(암장)하고 있다. 달이나 별이다. 電氣(전기), 乾電池(건전지),

    容接(용접), 光線(광선). laser(레이져), 通信(통신), 自動車前照燈(자동차전조등),

    閃光(섬광)[=번개] 等 이다. 물기를 말리는 불이나 煖房(난방)하는 熱(열) 等이다.

    心臟(심장), 齒牙(치아), 頭部(두부)[=머리], 後頭(후두)[=뒷골], 低血壓(저혈압),

    血液(혈액), 精神(정신), 神經(신경) 等이다.

  ▶[物象(물상)]→燈(등)불. 神(신)불. 꿈이 適中(적중)한다. 未來(미래)의 直感力(직감력)이 있음.

    親戚(친척)·親舊(친구)에 잘한다. 宗敎(종교)에 關心(관심)이 있음. 人間(인간)이 만든 불이다.

    電氣(전기)·電波(전파)·學文(학문)·理論(이론)·公式(공식)·[LPG]·[LNG]·촛불·九九段(구구단)∋도

    丁火(정화)이다. 촛불은 自身(자신)을 태우면서 어둠을 밝히는 奉仕精神(봉사정신)이 있음.


5. 戊土(무토)=城垣土(성원토).

 (1)共通(공통).

   ▶茂盛之象(무성지상)이다. 用力易成(용력이성)한다.

   ㅁ智異山(지리산)[=土山(토산)]·北漢山(북한산)[=金山(금산)]·白頭山(백두산)[=木山(목산)]

   *金剛山(금강산)[=火山(화산)].

   *戊土(무토)는 오가는 것을 觀望(관망)하는 泰山(태산)을 意味(의미)한다.

    卽(즉) 높은 山(산)의 土(토)이다. 戊土(무토)는 孤獨(고독)하다. 孤獨(고독)을 스스로 즐긴다.

    父母兄弟(부모형제)가 있어도 議論(의논)치 않고 혼자 孤獨(고독)을 짊어진다. 表情(표정)이 없고,

    촐랑대거나, 울고 불고 하지 않는다. sense(센스)도 없고, 固知識(고지식)하고,

    있는 그대로 밖에 모르니 從業員(종업원)으로는 별로이다. 適性檢査(적성검사)가 必要(필요)하다.

  ▶戊土(무토)도 무서울 때가 있다. 잘못 건드리면 난리치고 모아 두었다가 한번에 爆發(폭발)한다.

    戊土(무토)는 건드리지 마라. 다시 안볼 듯 10年(년), 20年(년) 前(전)의 것이 툭툭 불거져 나오고,

    記憶力(기억력)도 좋아 까맣게 잊고 있었던 일도 끄집어 낸다. 戊土(무토)는 驕慢(교만)해 보여서

    가끔 誤解(오해)를 받는다. 아무런 利益(이익)이 없는데도 事物(사물) 等이 正確(정확)한지

    아닌지를 計算(계산)한다.

  ▶城郭(성곽), 團體(단체), 挑戰(도전), 對立(대립) 等의 뜻이 있다. 弱者(약자)를 돕는다.

    派閥造成(파벌조성)을 한다. 都賣業種(도매업종)이나 支社長(지사장)이나 獨立(독립)된

    職責(직책)에 從事(종사)한다. 正直(정직)하다. 負債(부채)[=빚]는 꼭 갚는다.

    변두리 장사는 亡(망)한다.

  ▶[物象(물상)]→戊土(무토)는 보이지 않는 癸水(계수)를 暗藏(암장)함. 地球(지구). 大地(대지).

    不動産(부동산). 家屋(가옥). 建築物(건축물). 堤防類(제방류). 倉庫(창고). 土石(토석).

    물이 고여 있는 땅. 溫泉(온천). 鎔巖(용암). 火山石(화산석). 自動車(자동차). 重火器(중화기).

    바위. 벽돌. 5層(층)10層(층)의 建物(건물). tile(타일). slate(스레이트) 等. 胃腸(위장).

    脾臟(비장). 皮膚(피부). 옆구리. 손. 발 等.


6. 己土(기토)=田園土(전원토).

 (1)共通(공통).

  ▶沃土(옥토)이다. 들판이나 논과 밭을 意味(의미)한다. 己土(기토)는 人間(인간)이 가꾸는

    垈地(대지)이다. 乙木(을목)은 人間(인간)이 가꾸는 穀食(곡식)이다. 陰五行(음오행)은 人間(인간)과

    關係(관계)가 많다. 甲木(갑목)은 山(산)의 鍛鍛(단단)한 흙인 戊土(무토)보다,

    기름지고 營養價(영양가)있는 己土(기토)를 좋아한다. 乙木(을목)도 己土(기토)를 좋아하니

    人氣(인기)가 좋다.

  ▶己土(기토)는 癸水(계수)를 보면 混濁(혼탁)한 흙탕물이 되니 癸水(계수)를 싫어한다.

    己土(기토)가 술을 마시면 理性(이성)을 잃는다. 甲木(갑목)이 己土(기토)를 依支(의지)할 곳으로

    본다면 乙木(을목)은 虎口(호구)다. 己土(기토)는 衝動購買(충동구매)에 弱(약)하다. 丙火(병화)의

    固執(고집)도 己土(기토)에게는 弱(약)하다. 己土(기토)는 禍(화)가 나면 가만히 기다린다.

    己土(기토)는 自己主張(자기주장)을 내세우지 않아 周邊(주변)이 좋아한다.

  ▶己土(기토)는 찰흙으로 模型(모형)을 만드는 흙이다. 固知識(고지식)하고, 純眞(순진)해 보이고,

    모진 말을 못하고, 남의 心情(심정)을 잘 헤아려 준다. 宗敎人(종교인)의 適性(적성)에 맞는다.

    乙木(을목)에게 골탕을 먹는다. 웬만한 엉터리가 아니면 속아 넘어간다. 속을 알 수가 없다.

    戊土(무토)는 陽的(양적)인 中庸(중용)이고 己土(기토)는 陰的(음적)인 中庸(중용)이다.

    土(토)는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으니 判定(판정)을 하기가 어렵다.

  ▶[物象(물상)]→己土(기토)는 보이지 않는 甲木(갑목)을 暗藏(암장)하고 있다.

    陰地(음지)의 土石(토석). 家屋(가옥). ?墻(담장). 城壁(성벽). 마을이나 村落(촌락). 基地(기지).

    모래. 자갈. concrete(콘크리트). remicon(레미콘). 道路(도로). 建築用土石(건축용토석) 等.

    胃腸(위장). 脾臟(비장). 後頭(후두). 얼굴. 창자 等.


7. 庚金(경금)=劍戟金(검극금).

 (1)共通(공통).

  ▶不得康寧(불득강녕)한다. 10干中(간중)에서 가장 鍛鍛(단단)하다. 鍛鍛(단단)한 바위이다.

    固執不通(고집불통)이다. 마음먹은 일은 끝장 본다. 途中(도중)에 誤謬(오류)가 생겨도

    그냥 밀고 가며 修正(수정)을 모른다. 恒常(항상) 無謀(무모)하다. 甲木(갑목)은 庚金(경금)을

    가장 두려워 한다. 꼬장꼬장한 强骨(강골)로서 自己主張(자기주장)를 굽히지 않으니

    司憲府(사헌부)선비의 體質(체질)이다.

  ▶威脅(위협)을 느껴도 할말을 하고, 所信(소신)이 있고, 方向(방향)을 修正(수정)하지 않고,

    그냥 밀고 나간다. 한번 옳다고 判斷(판단)되면 絶對(절대)로 修正(수정)하지 않는다. 敵(적)도 많다.

    結合提携(결합제휴)는 體質(체질)에 맞지 안는다. 그릇이 크다. 庚金(경금)은 어린아이 같은

    純眞(순진)함이 있음. 膳物(선물)을 사주면 좋아하고, 私心(사심)이 없이 받아 들이니 속기도 잘한다.

    庚金(경금)의 心腹(심복)은 平生(평생)간다.

  ▶庚金(경금)은 軍人體質(군인체질)이다. 水火不辭(수화불사)한다. 命令服從(명령복종)한다.

    同僚意識(동료의식)이 强(강)하고 義理(의리)를 重(중)히 여긴다. 洗鍊(세련)되지 않은

    天然岩石(천연암석)이다. 歲月(세월)이 흐르면 그것이 長點(장점)으로 된다. 自己主張(자기주장)을

    굽히는 것을 恥辱(치욕)으로 여긴다. 機會主義者(기회주의자)들에게는 無視(무시)를 當(당)하기 쉽다.

    山上(산상)에 솟은 바위이다. 땅속 깊은 곳에 뿌리를 둔 巖盤(암반)이다. 대쪽같은 性品(성품)이다.

    황소같은 固執(고집)이다.

  ▶[物象(물상)]→庚金(경금)은 보이지 않는 乙木(을목)을 暗藏(암장)하고 있음. 鐵鋼(철강).

    建築用鐵材(건축용철재). 金屬性物質(금속성물질). 機械類(기계류). 방앗간. 칼. 바늘. 톱.

    나무 자르는 機具(기구). 織造機(직조기). 裁縫(재봉)틀 等. 大腸(대장). 肺(폐). 呼吸器(호흡기).

    창자. 泄瀉(설사). 가래침 等.


8. 辛金(신금)=珠玉金(주옥금).

 (1)共通(공통).

  ▶無力可辨(무력가변)한다. 空有辛動(공유신동)이다. 加工石(가공석), 寶石(보석), 加工(가공)된

    金屬(금속)이다. 陰金(음금)이니 숨기고 감추어 둔다. 辛金(신금)은 깔끔한 洋酒(양주)이고,

    庚金(경금)은 막걸리이다. 멋쟁이이니 雜草(잡초)속에 있는 것을 싫어 한다. 높은 곳이나

    눈에 잘띄는 곳에 있기를 願(원)한다. 陰性的(음성적)인 性格(성격)이다. 丙辛合水(병신합수)하니

    丙火(병화)가 가장 두려워 한다.

  ▶丙火(병화)는 밖에서 힘을 다 쏟고 집에 오면 빈깡통이니 辛金(신금)이 바가지를 긁어도

    默默不答(묵묵부답)이고 性慾減退(성욕감퇴)하고 몸따로 마음따로 이다.

    運動選手(운동선수)나 깡패 等이 婦人(부인)에게 고분고분하는 理由(이유)이다.

  ▶辛金(신금)은 툴툴터는 技術(기술)이 不足(부족)하다. 辛金寶石(신금보석)은 뽐내고 싶어하니

    사람의 關心(관심)을 모으는 맛으로 살아 가는데 남이 몰라 주고 無視(무시)하면 속상해서 잠을 못잔다.

    두고 두고 벼른다. 辛金(신금)은 刺戟療法(자극요법)쓰면 일에 熱中(열중)한다.

  ▶辛金(신금)의 埋葬法(매장법)은 자꾸자꾸 추겨주면 된다. 못생긴 愛人(애인)이라도 추겨주면

    自信感(자신감)이 생긴다. 辛金(신금)은 두려움이 없음.

    丙火(병화)앞에서는 큰소리치고 뒤에서는 怯(겁)을 낸다.

    辛金(신금)은 피를 흘리면서 相對(상대)에게 달려드는 七顚八起形(칠전팔기형)이다.

    庚金(경금)은 물고 늘어지지 않고 그때 지나면 잊어버린다.

  ▶[物象(물상)]→辛金(신금)은 보이지 않는 丙火(병화)를 暗藏(암장)하고 있음. 佩物(패물).

    機械附屬(기계부속). 電氣機械(전기기계). 불에 녹는 쇳물. 鐵金屬物質(철금속물질).

    機械類生産(기계류생산). 廚房家具(주방가구) 等. 肺(폐). 呼吸器(호흡기). 기침. 皮膚(피부).

    大腸(대장) 等.


9. 壬水(임수)=大海水(대해수).

 (1)共通(공통).

   ▶任托須人(임탁수인)한다. 넓은 바다이다. 고요할 때는 거울, 衝動(충동)하면 怒濤(노도)가 된다.

    바다는 暫時(잠시)도 가만 있지 않는다. 恒常(항상) 生覺(생각)한다. 沈着(침착)하니 속을 알 수 없음.

    輕擧妄動(경거망동)을 하지 않는다. 함부로 相對(상대)하기 어렵다. 意外(의외)로 率直(솔직)하다.

  ▶壬水(임수)는 窮理(궁리)를 많이 한다. 꿍꿍이 속으로 두번 세번 生覺(생각)하고 生覺(생각)한다.

    發明家(발명가)의 氣質(기질)이 있음. 知能(지능)도 높다. 壬水(임수)는 硏究(연구)하고 實驗(실험)하는

    學者心性(학자심성)이다. 마음이 柔軟(유연)하다. 새로운 學說(학설)을 보면 肯定的(긍정적)으로

    받아 들이고 實驗(실험)을 하고 證明(증명)을 한다. 自己(자기)의 몸조차 實驗對象(실험대상)이다.

  ▶[物象(물상)]→壬水(임수)는 보이지 않는 丁火(정화)를 暗藏(암장)하고 있음.

    물과 바다. 湖水(호수). 얼음. 눈. 비. 구름. 氷山(빙산). 油類(유류). 酒類(주류).

    飮料水(음료수). 工業用水(공업용수) 等. 膀胱(방광). 腎臟(신장). 血液(혈액). 땀. 小便(소변).

    泄瀉(설사). 炎症(염증). 痔疾(치질). 濕疹(습진). 腫氣(종기). 唾液(타액)[=가래침] 等.


10. 癸水(계수)=雨露水(우로수).

 (1)共通(공통).

  ▶名利大發(명리대발)한다. 交友共事(교우공사)한다. 須防暗(수방암)이다. 옹달샘, 빗물, 안개를

    意味(의미)한다. Icecream(아이스크림)이다. 甘露水(감로수)의 役割(역할)을 한다.

  ▶生命(생명)의 情(정)이다. 물을 먹지 않으면 男子(남자)는 7日(일), 女子(여자)는 9日(일) 지나면

    危險(위험)해진다. 壬水(임수)는 먹기 힘들고 癸水(계수)는 食水(식수)이다. 癸水(계수)는

    魔法師(마법사)로서 狀況(상황)에 따라 變換(변환)이 自由自在(자유자재)이다.

  ▶癸水(계수)는 變化(변화)가 많아 때로는 豫測不許(예측불허)인 境遇(경우)도 있음.

    生氣(생기)[=옹달샘]가 있고 活潑(활발)[=시냇물]하다. 없는 것[=안개]같기도 하고,

    촉촉[=이슬비]하기도 하고, 狂風怒濤(광풍노도)의 集中豪雨(집중호우)처럼 變(변)하기도 한다.

  ▶[物象(물상)]→癸水(계수)는 보이지 않는 戊土(무토)를 暗藏(암장)을 하고 있음. 물. 雨雹(우박).

    비. 구름. 江(강)물. 물이 있는 곳. 샘물. 下水溝(하수구). 溫泉水(온천수). 地下水(지하수).

    水道(수도)물. 排泄物(배설물). 油類(유류). 酒類(주류). 濁水(탁수). 汚染水(오염수).

    液體(액체) 等이다. 腎臟(신장). 膀胱(방광). 血液(혈액). 小便(소변). 땀. 눈물. 炎症 (염증).

    濕疹(습진). 皮膚疾患(피부질환). 전립선 等에 該當(해당)된다.







  추천하기   목록보기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54  54.오행으로 입시, 시험, 학과, 전공, 직업의 선택요령 6-1    sungho1638 2018/12/19 1174 5276
53  53.오행으로 입시, 시험, 학과, 전공, 직업의 선택요령 6-1    sungho1638 2018/12/19 1299 6853
52  52.오행으로 입시, 시험, 학과, 전공, 직업의 선택요령 5-1    sungho1638 2018/07/12 1277 14425
51  51.오행으로 입시, 시험, 학과, 전공, 직업의 선택요령 4-2    sungho1638 2018/01/18 1276 5367
 50.오행으로 입시, 시험, 학과, 전공, 직업의 선택요령 4-1    sungho1638 2018/01/18 1249 5483
49  49.오행으로 입시, 시험, 학과, 전공, 직업의 선택요령 3-2    sungho1638 2017/11/15 1215 5237
48  48.오행으로 입시, 시험, 학과, 전공, 직업의 선택요령 3-1    sungho1638 2017/11/15 1720 13409
47  47.오행으로 입시, 시험, 학과, 전공, 직업의 선택요령 2-2    sungho1638 2017/04/19 1316 6948
46  46.오행으로 입시, 시험, 학과, 전공, 직업의 선택요령 2-1    sungho1638 2017/04/19 1247 5995
45  45.오행으로 입시, 시험, 학과, 전공, 직업의 선택요령 1-3    sungho1638 2017/02/03 1274 7475
44  44.오행으로 입시, 시험, 학과, 전공, 직업의 선택요령 1-2    sungho1638 2017/02/03 1180 6099
43  43.오행으로 입시, 시험, 학과, 전공, 직업의 선택요령 1-1    sungho1638 2017/02/03 1331 12020
42  42. 忘憂里(망우리)墓地紀行(묘지기행).    sungho1638 2008/10/18 1771 8867
41  41. 建築敷地整理工事(공장부지정리공사 ).    sungho1638 2008/10/16 1725 6660
40  40. 서구식 대형 아파트 내부배치 감정    sungho1638 2008/09/26 1762 6306
39  39. 학생(學生)공부방(工夫房),서재(書齋)배치도(配置圖) .    sungho1638 2008/01/31 1789 11503
38  38. 회사(會社)부서(部署)배치도(配置圖) .    sungho1638 2008/01/31 1724 7560
37  37.홍콩, 20년째 '풍수전쟁'    sungho1638 2007/09/23 2414 6932
36  36. 죽은 점포도 살린다.    sungho1638 2007/09/12 2042 5329
35  35. 재산분할, 가족분쟁등으로 불편한 일반주택을 길가로 바꾸기 (경기도 부천시 범박동 소재)    sungho1638 2007/09/04 1607 5004

    목록보기   다음페이지 1 [2][3]
       

Copyright 1999-2025 Zeroboard / skin by zero
main